본문 바로가기
트레이닝/웨이트

NASM CPT의 OPT(Optimum Performance Training) 모델 총정리

by 이지코치 2025. 4. 2.

NASM(미국스포츠의학협회)의 OPT 모델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트레이닝 시스템으로, 퍼스널 트레이너들이 클라이언트의 건강과 운동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NASM CPT 자격증의 핵심 요소입니다. 이 모델은 Dr. Mike Clark가 개발했으며, 광범위한 과학적 증거와 원리에 기반하고 있습니다4. 이 보고서에서는 OPT 모델의 개념, 구조, 단계별 특성과 적용 방법에 대해 상세히 정리하겠습니다.

OPT 모델의 개념과 목적

OPT 모델은 신체 구조적 불균형과 손상받기 쉬운 사람들을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으로 개념화되었습니다5. 이 모델은 유연성, 근지구력, 유산소 지구력, 코어 안정성, 밸런스, 근력, 협응력, 파워 같은 모든 신체적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으며7, 생리적, 신체적 운동수행능력 적응을 통해 체계적으로 최적의 수준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6.

OPT 모델이 추구하는 이득

생리적 이득:

  • 심폐능력 향상
  • 유익한 호르몬과 혈중 지질 성분의 변화 강화
  • 대사적 효율의 증가
  • 골밀도 증가56

신체적 이득:

  • 체지방 감소
  • 제지방(근육) 증가
  • 조직의 장력 강도 증가(힘줄, 인대, 근육)56

수행적 이득:

  • 근력, 파워, 지구력 향상
  • 유연성 증가
  • 속도, 민첩성, 평형성 개선56

OPT 모델의 구조와 단계

OPT 모델은 안정화(Stabilization), 근력(Strength), 파워(Power)라는 세 가지 주요 레벨로 구성되며, 이는 다시 5개의 세부 단계로 나뉩니다67.

1. 안정화 단계 (Stabilization Level)

안정화 단계는 OPT 모델의 기초이며, 근육 지구력, 안정성 및 협응성 향상에 중점을 둡니다. 이 단계는 초보자나 오랜 휴식 후 운동에 복귀한 클라이언트에게 특히 중요합니다1.

1단계: 안정화 지구력 트레이닝

  • 목표: 근지구력 향상, 관절 안정화 강화, 유연성 증가, 자세 통제 강화, 신경근 효율성 향상(밸런스, 안정화, 근육 협응력)6
  • 주요 구성요소:
    • 코어 안정성: 핵심 근육의 강화와 협응성 향상
    • 밸런스 트레이닝: 움직임 중 제어력 유지 능력 향상
    • 유연성: 동적 스트레칭을 통한 관절 가동범위 증가1
  • 트레이닝 방식: 불안정하지만 통제할 수 있는 환경에서 트레이닝(고유감각수용적 자극), 저부하, 고반복6
  • 트레이닝 변수:
    • 반복횟수: 12-20회
    • 세트: 1-3세트
    • 강도: 1RM의 50-70%
    • 반복속도: 느림(4211 템포)
    • 휴식시간: 0-90초348

안정화 단계는 더 높은 수준의 트레이닝 요구사항에 맞게 신체를 준비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초보자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성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7.

2. 근력 단계 (Strength Level)

클라이언트가 충분한 안정성을 발달시키면 근력 단계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는 세 가지 하위 단계로 나뉘어집니다1.

2단계: 근지구력 트레이닝

  • 특징: Ken Miller는 이를 "gateway phase"라고 부름. 더 무거운 무게와 높은 트레이닝 강도에 적응할 기회 제공4
  • 목표: 안정화 지구력의 향상과 근력 발휘 증가, 전반적인 운동수행능력 향상, 관절 안정화 향상, 제지방체중 증가6
  • 트레이닝 방식: 수퍼세트 기법 사용(전통적 근력 운동 후 유사한 생체역학적 동작이지만 더 많은 안정화가 필요한 운동 연속 수행)46
  • 트레이닝 변수:
    • 반복횟수: 8-12회(수퍼세트당 16-24회)
    • 세트: 2-4세트
    • 강도: 1RM의 50-70%
    • 휴식시간: 0-90초34

3단계: 근비대 트레이닝

  • 목표: 최대 근육 성장46
  • 특징: 고강도, 중간 반복 횟수의 운동으로 세포 변화 유도4
  • 트레이닝 변수:
    • 반복횟수: 6-12회
    • 세트: 3-5세트
    • 강도: 1RM의 75-85%
    • 반복속도: 보통
    • 휴식시간: 0-60초34

4단계: 최대 근력 트레이닝

  • 목표: 최대 근력 발달46
  • 특징: 근육의 최대 힘 생산 능력 향상에 초점4
  • 트레이닝 변수:
    • 반복횟수: 1-5회
    • 세트: 4-6세트
    • 강도: 1RM의 85-100%
    • 반복속도: 빠르게 또는 폭발적
    • 휴식시간: 3-5분34

3. 파워 단계 (Power Level)

5단계: 파워 트레이닝

  • 목표: 고강도, 고속도 운동을 통한 파워 향상4
  • 특징: 대조적 로드 수퍼세트 활용(최대 근력 운동 1-5회 후 바이오메카닉스가 유사한 폭발적 저부하 운동 8-10회)4
  • 트레이닝 변수:
    • 강도: 1RM의 30-45%
    • 세트: 3-6세트
    • 반복속도: 최대한 빠르게 또는 폭발적
    • 휴식시간: 3-5분34

이 단계는 운동선수 뿐만 아니라 일반 클라이언트에게도 적합하며, 전략적으로 사용하면 결과와 도전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4.

트레이닝 급성 변수 (Acute Variables)

프로그램 설계의 기본 구성요소로 스트레스의 양과 신체 적응 유형을 결정합니다3.

반복(Repetition)

특정 운동에서 동심성 수축, 등척성 수축, 편심성 수축을 포함한 완전한 움직임을 의미합니다3. 목표에 따라 다른 반복 횟수가 요구됩니다:

  • 근지구력: 1RM의 50-70%(12-20회)
  • 근비대: 1RM의 75-85%(6-12회)
  • 최대근력: 1RM의 85-100%(1-5회)
  • 파워: 1RM의 30-45%(1-10회)3

세트(Set)

연속적인 반복의 집합으로, 세트, 반복, 강도 사이에는 반비례 관계가 있습니다3:

  • 낮은 강도에서 많은 반복을 할 때는 적은 세트(근지구력)
  • 높은 강도에서 적은 반복을 할 때는 많은 세트(근력 및 파워)3

트레이닝 강도(Training Intensity)

최대 노력에 대한 개인의 수준으로 정의되며, 수행할 세트와 반복횟수로 결정됩니다3. 불안정한 환경에서의 트레이닝은 강도를 증가시키며, 더 많은 에너지 소비로 이어집니다3.

반복속도(Repetition Tempo)

반복이 수행되는 속도와 관련이 있으며, 단계별로 다른 반복속도가 권장됩니다3:

  • 근지구력 및 안정화: 느린 반복속도
  • 근비대: 보통 반복속도
  • 최대근력: 빠르게 또는 폭발적인 속도
  • 파워: 최대한 빠른 또는 폭발적인 속도3

휴식 간격(Rest Interval)

세트 간 체력 회복을 위한 시간으로, ATP와 PC의 회복 정도에 영향을 줍니다3:

  • 20-30초: ATP와 PC 50% 회복
  • 40초: ATP와 PC 75% 회복
  • 60초: ATP와 PC 85-90% 회복
  • 3분: ATP와 PC 100% 회복3

트레이닝 양(Training Volume)

특정 시간 내 수행된 운동의 총합으로, 강도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3. 높은 운동량은 세포 적응(근비대, 지방감소)을, 높은 강도와 낮은 운동량은 신경 적응(파워, 최대근력)을 유도합니다3.

OPT 모델의 적용

일일 운동 템플릿 디자인

안정화 단계 일일 템플릿:

  • 준비운동: 5-10분(자가근막이완, 능동적 스트레칭, 심폐 트레이닝, 동적 스트레칭)
  • 코어/밸런스 트레이닝: 불안정하지만 통제된 환경에서 수행
  • 저항 트레이닝: 느린 반복 속도로 12-20회 반복, 1-3세트
  • 정리운동: 5-10분(심폐 트레이닝, 자가근막이완, 정적 스트레칭)8

근력 단계 일일 템플릿:

  • 준비운동: 안정화 단계와 동일
  • 코어/밸런스/저항 트레이닝: 단계별 권장 변수에 따라 수행
  • 정리운동: 안정화 단계와 동일8

목표별 OPT 모델 적용

체지방 감소 고객:

  • OPT 모델의 1, 2, 3단계를 순환하며 적용
  • 심폐 트레이닝 상시 권장
  • 예시: 주간 계획에서 월(1단계+심폐), 수(2단계+심폐), 금(3단계+심폐) 식으로 진행8

근비대 고객:

  • OPT 모델의 1, 2, 3, 4단계를 순환하여 적용
  • 예시: 월별 계획에서 1월(1단계), 2월(2단계), 3월(3단계), 4월(4단계) 식으로 진행8

스포츠 수행능력 향상 고객:

  • OPT 모델의 전체 단계를 체계적으로 적용8

결론

NASM의 OPT 모델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트레이닝 시스템으로, 안정화부터 파워까지 체계적인 단계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합니다. 이 모델은 개인의 체력 수준, 목표, 특정 요구사항에 맞게 조정 가능하며, 20년 이상 세계 최고 선수들에게 활용되며 검증되었습니다4. 퍼스널 트레이너는 OPT 모델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안전한 진행을 보장하면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OPT 모델의 핵심 가치는 초보자에게 자신감을 부여하고,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성을 높이며, 과도한 트레이닝으로 인한 탈진이나 부상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있습니다7. 이를 통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 경험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